우리의 장점

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장점

For Precious People – Hearing Aid Center

청각언어재활센터

재생
  • 1
    난청으로 인해 나타나는 인지능력과 중추정보처리 문제를 청능훈련을 통해 최대치로 극대화시켜
    생활 속 어려움 감소와 뇌기능 및 의사소통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센터
  • 2
    언어재활사를 통해 음소, 어절, 문장 등의 문제점 확인 후 의사소통 실행능력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는
    검증된 훈련도구와 대체방안 제시
  • 3
    대한민국 3,600여개 센터 중 0.01%의 전문청능사 및 1급언어재활사가 상주하는 전문센터에서만 가능
  • 4
    약 30분 ~ 1시간 정도의 개인 맞춤형 재활 제공

꾸준히 성장하는
전문센터

2025 벨톤 포럼 신제품 인비전 보청기 소식

2025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후기

2025년 시그니아 보청기 신제품 세미나 함께 즐겨봐요!

대외활동 사진 제목

대외활동 사진 제목

대외활동 사진 제목

대외활동 사진 제목

청각학 및 보청기 기술력은 매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안주하지 않고 최상의 청각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국내외 학회 및 대외활동에 꾸준히 참석하고 있습니다.

검증된 이력으로
신뢰가 쌓이는 센터

현재 우리나라는 누구나 보청기를 판매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성실하고 실력 있는 전문가들도 존재하지만, 일부에서는 단기간의 제조사 교육과정 이수나 허위 이력을 통해
보청기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귀한보청기 청각언어재활센터는 검증 가능한 이력을 기반으로 신뢰를 제공합니다.
총 11편의 논문 게제, 9건의 특허 등록, 해외 연수 및 학술 발표, 보청기 전문 서적 출간, 이명 전문 케어 인증 센터 등,
축적된 성과와 공인된 전문성을 통해 고객 여러분께 신뢰받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보청기 상담 및 이명재활은 누가?

  • 석사 학위증

  • 학부 학위증

  • 전문청능사 자격증

  • 발달재활 서비스 자격

  • 보청기 책 공동저자

  • 논문
    보청기: 6편
    이명: 5편

  • University of Hawai`i
    at Moana 증명서

  • University of IOWA
    Hospitals & Clinics
    증명서

  • 특허
    보청기: 3개
    이명: 6개

  • AVT 교육 이수증

  • 평택시 유일
    이명 전문케어 선정

  • Audiological Testing
    Service 자격증

청각 및 인지재활은 누가?

  • AVT 교육 이수증

  • 석사(2년) 증명서

  • 학부(4년) 증명서

  • 1급 언어재활사 자격증

특정 브랜드
상호가 아닌
멀티 브랜드 사용

재생
1가지 브랜드를 주력으로 취급하는 업체는 이윤을 위해 주 판매 상품을 정하거나 같은 계열사의 브랜드를
메인 브랜드로 둔갑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귀한보청기 청각언어재활센터는 각 계열사의 메인 브랜드와 정식 계약을 통해 세계 6대 브랜드만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판매가 쉽고 이윤이 높은 제품이 아닌 고객님의 청력, 생활환경, 제품 기능 등에 맞추어 고객님께 가장 적합한
보청기를 권유해드립니다. 세계 6대 브랜드에는 와이덱스, 시그니아, 오티콘, 포낙, 벨톤, 스타키 제조사가 있습니다.

영상을 통해 세계 6대 브랜드를 확인하는 방법과 특징을 알아보세요

올바른
관리 시스템 제공

Q

보청기의 수명이 다 할 때 까지
제대로 된 관리를 받고 계신다고 생각하시나요?

생각보다 많은 어머님과 아버님의 보청기가 구매 이후 방치되고 있습니다.

사용자와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는 귀한보청기만의 시스템으로 관리 진행. STEP1 청력검사 및 상담, STEP2 신규고객: 보청기 착용 / 기존고객: 보청기 점검 및 청력검사 결과 안내, STEP3 소리조절, STEP4 특수검사, STEP5 청각(청능) 및 인지재활, STEP6 보청기 점검

오로지 보청기와 청각재활을 위한
전문적인 공간 설계로
올바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귀한보청기 청각언어재활센터만의 체계적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고객님이 다가오시기 전에 먼저 다가가겠습니다.

검사의 전문성

유명 대학 병원을 방문하는 이유는 검사의 다양성, 정확성, 평가의 신뢰성 때문입니다.

검사자의 능력, 시설과 장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같은 보청기로도 전문성의 깊이에 따라
소리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청각학을 제대로 전공한 전문청능사가 올바른 검사 결과를 안내해드립니다.

대형 더블월 방음부스 사용으로

높은 차음성능[55 dB(A) 이상]을 갖춤

청각 검사 종류

Click!
아래의 청각 경로를 누르면 검사항목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외이도 - 고막 – 이소골 - 유스타키오관
  • 달팽이관
  • 유모세포
  • 청신경
  • 이명
외이도 - 고막 – 이소골 - 유스타키오관
비디오 이경검사 (Video otoscope)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Myburgh, H. C., Van Zijl, W. H., Swanepoel, D., Hellström, S., & Laurent, C. (2016). Otitis media diagnosis for developing countries using tympanic membrane image-analysis. EBioMedicine, 5, 156-160.
고막운동도검사 (Tympanometry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Liden, G., Peterson, J. L., & Bjorkman, G. (1970). Tympanometry a method for analysis of middle—ear function. Acta Oto-Laryngologica, 69(sup263),218-224.

Shanks, J. E. (1984). Tympanometry. Ear and hearing, 5(5), 268-280.
등골근반사검사 (Acoustic Reflex Threshold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Jerger, J., Burney, P., Mauldin, L., & Crump, B. (1974). Predicting hearing loss from the acoustic reflex.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39(1),11-22.
Marchant, C. D., McMillan, P. M., Shurin, P. A., Johnson, C. E., Turczyk, V. A.,einstein, J. C., & Panek, D. M. (1986). Objective diagnosis of otitis media inearly infancy by tympanometry and ipsilateral acoustic reflex thresholds. The Journal of pediatrics, 109(4), 590-595.
이관기능검사 (Eustachian tube function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luestone, C. D., & Cantekin, E. I. (1981). Current clinical methods, indications and interpretation of eustachian tube function tests. Annals of Otology,Rhinology & Laryngology, 90(6), 552-562.
Karahatay, S., Yilmaz, Y. F., Birkent, H., Ay, H., & Satar, B. (2008). Middle ear barotrauma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 incidence and the predictive valueof the nine-step inflation/deflation test and otoscopy. Ear, Nose & Throat Journal, 87(12), 684-688.
달팽이관
순음청력검사 (PTA test, Pure Tone Audiometry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 기도역치 (Air conduction threshold)
- 골도역치 (Bone conduction threshold)
- 불쾌음압역치 (UCL, Uncomfortable Level)

Carhart, R. (1950). Clinical application of bone conduction audiometry. Archives of otolaryngology, 51(6), 798-808. Carhart, R., & Jerger, J. F. (1959). Preferred method for clinical determination of pure-tone threshold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4(4),330-345. Sohmer, H., Freeman, S., Geal-Dor, M., Adelman, C., & Savion, I. (2000). Bone conduction experiments in humans–a fluid pathway from bone to ear.Hearing research, 146(1-2), 81-88.
어음청각검사 (SA test, Speech Audiometry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 어음탐지역치(SRT, Speech Reception Threshold)
- 단어인지도(WRS, Word Recognition Score)
- 문장인지도(SRS, Sentence Recognition Score)

Ramkissoon, I. (2001). Speech recognition thresholds for multilingual population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2(3), 158-162.

Martin, F. N., Champlin, C. A., & Perez, D. D. (2000). The question of phonetic balance in word recognition testing.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11(09), 489-493.

Gelfand, S. A. (1998). Optimizing the reli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scor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1(5), 1088-1102.
역치피로검사 (TTD test, Threshold Tone Decay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Jerger, J., & Jerger, S. (1975). A simplified tone decay test. Archives of Otolaryngology, 101(7), 403-407.
미세증가감수지수검사 (SISI test, 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Yantis, P. A., & Decker, R. L. (1964). On the 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 (SISI tes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9(3), 231-246.

Campbell, I. D. (1970). The frequency increment sensitivity test. Actato-Laryngologica, 70(5-6), 371-378.
청력역치등가소음검사 (TEN test , Threshold Equalizing Noise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Moore, B. C. J., Huss, M., Vickers, D. A., Glasberg, B. R., & Alcántara, J. I. (2000). A test for the diagnosis of dead regions in the cochlea. British journal ofaudiology, 34(4), 205-224.

Moore, B. C. J. (2009). “Audiometer Implementation of the TEN (HL) Test for Diagnosing Cochlear Dead Regions”. White Paper for Interacoustics.
유모세포
변조이음향방사검사 (DPOAE,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test) 준비중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Lonsbury-Martin, B. L., & Martin, G. K. (1990). The clinical utility of distortion-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Ear and hearing, 11(2), 144-154.

Norton, S. J., Gorga, M. P., Widen, J. E., Folsom, R. C., Sininger, Y., Cone-Wesson, B., ... & Fletcher, K. (2000). Identification of neonatal hearing impairment:evaluation of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 and auditory brain stem response test performance. Earand hearing, 21(5), 508-528.
유발이음향방사검사 (TEOAE,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est) 준비중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Kemp, D. T., Ryan, S., & Bray, P. (1990). A guide to the effective use of otoacoustic emissions. Ear and hearing, 11(2), 93-105.

Hood, L. J., Berlin, C. I., Hurley, A., Cecola, R. P., & Bell, B. (1996). Contralateral suppression of transient-evoked otoacoustic emissions in humans: intensityeffects. Hearing research, 101(1-2), 113-118.
청신경
전기와우도 (Electrocochleography) 준비중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Ferraro, J. A., & Durrant, J. D. (2006). Electrocochle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Meniere's disease/endolymphatic hydrop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17(01), 045-068.

Colletti, V., Fiorino, F. G., Mocella, S., & Policante, Z. (1998). ECochG, CNAP and ABR monitoring during vestibular Schwannoma surgery. Audiology, 37(1), 27-37.
청성뇌간반응검사 (ABR test,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준비중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Kenyon, T. N., Ladich, F., & Yan, H. Y. (1998). A comparative study of hearing ability in fishes: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pproach. Journal ofComparative Physiology A, 182(3), 307-318.

Mason, J. A., & Herrmann, K. R. (1998). Universal infant hearing screening by automat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measurement. Pediatrics,101(2), 221-228.
한국어간이정신상태검사 (K-MMS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Park, J. H., & Kwon, Y. C. (1990). Modific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in a non‐western society. Part 1.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5(6), 381-387.
인지기능 훈련 및 재활 (Cognitive function training and rehabilitation)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Ge, S., Zhu, Z., Wu, B., & McConnell, E. S. (2018). Technology-based cognitive training and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BMC geriatrics, 18(1), 1-19.

Kim, Y. G. , & Kang, Y. G. (2018). The effects of eye tracking-linkaged attention training system for the cognition in brain injury: Pilot study. Journal of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1), 31-44
이명검사 (Tinnitus test)
주파수(음조)매칭 (Pitch matching)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aguley, D., McFerran, D., & Hall, D. (2013). Tinnitus. The Lancet, 382(9904), 1600-1607.

Eggermont, J. J., & Roberts, L. E. (2004). The neuroscience of tinnitus. Trends in neurosciences, 27(11), 676-682.
강도 매칭 (Loudness matching)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aguley, D., McFerran, D., & Hall, D. (2013). Tinnitus. The Lancet, 382(9904), 1600-1607.

Eggermont, J. J., & Roberts, L. E. (2004). The neuroscience of tinnitus. Trends in neurosciences, 27(11), 676-682.
최소차폐강도 (MML, Minimum masking level)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aguley, D., McFerran, D., & Hall, D. (2013). Tinnitus. The Lancet, 382(9904), 1600-1607.

Eggermont, J. J., & Roberts, L. E. (2004). The neuroscience of tinnitus. Trends in neurosciences, 27(11), 676-682.
잔존 억제현상 (RI, Residual Inhibition)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aguley, D., McFerran, D., & Hall, D. (2013). Tinnitus. The Lancet, 382(9904), 1600-1607.

Eggermont, J. J., & Roberts, L. E. (2004). The neuroscience of tinnitus. Trends in neurosciences, 27(11), 676-682.

그 밖의 특수검사

소음환경 검사
가청대비역치검사 (ACT test, Audible Contrast Threshold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Audible Contrast Threshold Test Laugesen, S., & Santurette, S. Audible Contrast Threshold (ACT™).
가상사운드환경검사 (VSE test, Virtual sound environments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Oreinos, C., & Buchholz, J. M. (2016). Evaluation of loudspeaker-based virtual sound environments for testing directional hearing aid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27(07), 541-556.
보청기 착용 전후 평가
음장검사 (Sound filed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Walker, G., Dillon, H., & Byme, D. (1984). Sound field audiometry: Recommended stimuli and procedures. Ear and hearing, 5(1), 13-21.
방향성검사 (Sound localization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Byrne, D., & Noble, W. (1998). Optimizing sound localization with hearing aids. Trends in Amplification, 3(2), 51-73.

Noble, W., & Byrne, D. (1990). A comparison of different binaural hearing aid systems for sound localiz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s. BritishJournal of Audiology, 24(5), 335-346.
한국어소음하검사 (K-HINT, Korean Hearing In Noise Test)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Weiss, D., & Dempsey, J. J. (2008). Performance of bilingual speakers on the English and Spanish versions of the Hearing in Noise Test (HINT). Journal of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19(01), 005-017.

Wilson, R. H., McArdle, R. A., & Smith, S. L. (2007). An evaluation of the BKB-SIN, HINT, QuickSIN, and WIN materials on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andlisteners with hearing loss.
전기음향학적 평가
실이공명반응 (REUR, Real Ear Unaided Response)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실이증폭반응 (REAR, Real Ear Adied Response)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실이폐쇄반응 (REOR, Real Ear Occluded Response)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실이대커플러차 (RECD, Real-Ear to Coupler Difference)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실이삽입이득 (REIG, Real Ear Insertion Gain)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시각스피치맵 (Visible Speechmap)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성능분석 (Hearing Aid Performance Analysis)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보청기 성능분석 (Hearing Instrument Test, Performance analysis of hearing aids)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Interacoustics. (2024, December). Instructions for Use – Affinity Compact (D‑0123234‑O). Interacoustics.
진인기, 김태화, 송현욱, 심상익, 오홍엽, 유제은, & 이장원. (2019). 보청기 실제, 교우.
심리 검사
설문지 및 상담 (Questionnaire and Counselling)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Metalsky, G. I., & Joiner, T. E. (1997). The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1(3), 359-384.

Sutcliffe, L. M., & Lincoln, N. B. (1998).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in aphasic stroke patients: the development of the Stroke Aphasic DepressionQuestionnaire. Clinical rehabilitation, 12(6), 506-513.
유소아
행동관찰청력검사 (BOA, Behavioral Observation Audiometry)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Wilson, W. R., & Richardson, M. A. (1991). Behavioral audiometry.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24(2), 285-297.
놀이청력검사 (PA, Play Audiometry)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Dawson, P. W., Nott, P. E., Clark, G. M., & Cowan, R. S. C. (1998). A modification of play audiometry to assess speech discrimination ability in severe-profoundly deaf 2-to 4-year-old children. Ear and Hearing, 19(5), 371-384.
시각강화청력검사 (Visual Reinforcement Audiometry) 준비중
참고문헌자세히 보기
Lidén, G., & Kankkunen, A. (1969). Visual reinforcement audiometry. Acta Oto-Laryngologica, 67(2-6), 281-292.
  • 귀한보청기 청각언어재활센터(대표자: 오홍엽)
  • 사업자등록번호: 644-38-01419
  • 평택시 중앙로 81 1층
  • TEL: 031-647-0134
  • FAX: 070-8244-0134
  • E-mail: ghdduq201@naver.com